심장으로 불리는 엔진은 자동차를 구성하는 3만여 개의 부품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잘 관리한다는 것만으로도 오랜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엔진에 관련된 오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과도한 관심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엔진에 직접 관련한 오일부터 첨가제, 슬러지 제거를 위한 플러싱까지 다방면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기는 하지만, 상식으로 알려진 사실이 오류인 경우도 있습니다. 두드러진 오류 중의 하나는 논란을 가진 엔진오일 교체 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개발자들의 개발 의도에 따른 매뉴얼은 차량을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방식과 소모품 교체 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엔진오일 교체 주기를 10,000Km까지로 제시하고 있으며 차량에 따라 10,000km를 훌쩍 넘기는 수치를 기준하기도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 주기가 10,000km 이상으로 바뀐 것은 엔진 제작 기술과 오일 제조 기술의 향상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엔진 내부 기밀이 완벽하지 않던 시절 엔진오일을 짧게 교체해주는 것이 엔진을 관리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알려졌지만 흐름이 바뀌었습니다.
엔진오일에는 내마모 첨가제인 ZDDP(Zinc dithiophosphates) 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열과 압력, 마찰, 약한 산에 의해 분해되면서 보호작용을 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내마모성이 증가하게 되고 보호 필름의 두께도 두터워지게 되면서 엔진 내부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줍니다.
ZDDP(Zinc dithiophosphates)가 변화를 일으키며 내마모성이 증가되는 시기는 대략 3,000 마일(약 5,000km) 이후이며 이 시기부터 마찰로 인한 금속 마모성분인 Fe(철)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쌍용 순정 오일과 액티언 디젤을 모델로 러시아에서 분석한 실험 결과는 새로운 사실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엔진오일 교체 주기로 알려진 3,000 마일까지 24ppm에 이르는 금속마모 성분이 발생했고 3,000 마일 이후부터 6,300 마일(약 10,000km)까지는 26ppm의 성분이 발생했습니다. 5,000km 이후 발생한 금속 마모성분에 비해 이전이 10배 가량 많은 것으로 밝혀진 것입니다.
차량에 적합한 엔진오일이라고 하더라도 5,000km 미만에서 자주 교환해주는 것은 오히려 엔진 마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결과입니다. 실험 차량은 오일 용량이 7리터를 넘기는 디젤 차량이기 때문에 가솔린과는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지만 5,000km라는 기존의 상식을 벗어난 것은 사실입니다.
일부에서는 5,000km 이상으로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우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거론하기는 하지만 10,000km 이내의 주기에서 규칙적으로 교환한 차량의 경우 슬러지에 대한 오염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정상 엔진과 순정 오일만으로도 슬러지가 발생할 확률은 적습니다.
가솔린 차량의 경우 차량 운행 주기와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인 주행 상태에서는7,000~8,000km 까지를 교체 적정 주기로 볼 수 있습니다. 피스톤링의 마모율은 신유 대비 사용유의 경우 7배가 높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주행거리 150,000km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10,000km 교체 주기를 가진 경우 15번의 엔진오일 교환과 390ppm의 금속 마모성분이 발생할 것이고 5,000km 교체 주기의 경우 30번의 엔진오일 교체와 720ppm의 금속 마모성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을 5,000km마다 교체하는 것은 2배의 비용 증가라는 측면과 엔진 내부 마모라는 악재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에스테르계 합성유로 교체했을 경우 마모율이 기준보다 증가할 여지가 있습니다. 알려진 것과 다르게 엔진 오일 주기를 짧게 가져가는 것이 오히려 마모율을 높이는 결과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